본문 바로가기
Internal Issue

한반도 군사적 긴장 고조....美-中, 엇갈린 반응

by 두루물 2010. 11. 25.

정지영 기자  jjy@vop.co.kr
 
23일 북한의 연평도 포격 이후 남북 간 군사적 긴장이 높아진 가운데, 미국과 중국이 엇갈린 반응을 내놓았다. 미국은 '북의 도발이 지속되는 가운데 대화는 없다'고 강조한 반면 중국은 '대화로 풀어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한.중.일 순방을 마친 스티븐 보즈워스 미 대북정책 특별대표는 24일 "북한은 이웃 국가에 대한 호전적이고 무책임한 공격을 중단하고 정전협정과 국제규범을 준수하라"고 밝혔다.

앞서 보즈워스 대표는 지난 22일 일본을 방문해 북측이 우라늄 농축에 나서는 와중에 6자회담을 재개할 수 없다는 입장을 밝힌 바 있다. 또 한.미.일 3국은 북의 우라늄 농축 중단을 6자회담 재개의 전제조건으로 내걸기로 합의했다는 언론 보도가 나오기도 했다.

즉 미국은 '북측의 도발이 이어지는 한 대화는 없다'는 입장을 분명히 하고 있는 셈이다.

반면 중국 측은 6자회담 재개 등 대화의 필요성을 강조하면서 '긴장 완화'와 '냉정과 절제'를 강조하고 있다.

훙레이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23일 브리핑에서 "대화와 협상을 통해 한반도 비핵화를 실현하자는 것이 중국의 일관된 입장"이라면서 "현재 시급한 것은 6자회담을 하루 빨리 재개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자페이신 중국 전국인민대표대회 외사위원회 부위원장도 23일(현지시간) 시카고에서 열린 한 포럼에 참석해 북한의 연평도 포격 이후 한반도 긴장을 완화하기 위해 냉정과 절제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또 그는 한반도 핵 문제는 외교적인 접근법을 통해서만 풀 수 있다면서 "6자회담이 이를 해결할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이며 "중국은 관련 당사자 모두가 긴밀하게 협력해 이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고 주장해왔다"고 말했다.

한편 이처럼 한반도 정세와 관련한 미.중의 입장이 엇갈리는 가운데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은 중국에 "북한에 대해 분명한 태도"를 취할 것을 촉구했다.

청와대에 따르면 오바마 대통령은 24일 오전 이명박 대통령과의 전화통화에서 이같이 말하면서 "중국이 대북관계에 있어 협력을 같이 해야 한다고 나도 통화하겠다"고 밝혔다.

오바마 대통령은 중국이 반발해온 항공모함 조지워싱턴호의 서해 파견과 서해상 한미연합훈련과 관련, "앞으로도 필요시 한미군사훈련을 함께 하자"고 덧붙였다.

<정지영 기자 jjy@vop.co.kr>
저작권자© 한국의 대표 진보언론 민중의소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