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Nature

냉동인간 부활시킬 단초찾았다

by 두루물 2011. 10. 8.
8조원의 사나이,잡스 냉동인간설,냉동설? IT거장답게 검색어를 모두 막아놓았다(?)..

Steve Jobs building cryonics lab on his property?

June 5 2009 at 3:51 AM


steve jobs not dead cryonics
 

October 06, 2011, 02:02 AM

 
Steve Jobs is one of the richest people in the world. He therefore can afford the best doctors money can buy. There exists cryogenic technology to freeze him. Think about it! The more you know people, the more you know.

http://en.wikipedia.org/wiki/Cryosurgery - Here's some sources of this such technology. Think about it, it is possible. 

http://en.wikipedia.org/wiki/Cryonics - Even more for you know. Read up, this is the future!




냉동인간 부활시킬 단초찾았다

 


20세기 과학고전으로 꼽히는 `냉동인간`(로버트 에틴거) 원전이 최근 국내에 소개돼 냉동보존술에 대한 관심을 높이고 있다. 미국 물리학자 에틴거는 1962년 집필한 `냉동인간`에서 인체 냉동보존술에 관한 근거를 처음 제시하고 냉동인간 사회가 현실화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생명공학과 미래 담론에 큰 획을 그은 것으로 평가받는다. 에틴거 저서가 나온 지 5년이 지난 1967년 미국에서 최초로 인간이 냉동 보존됐고 현재까지 100여 구가 부활을 기다리고 있다는 점도 흥미롭다. 과연 냉동인간 부활은 가능할까. 

물론 확률은 떨어지지만 기술적으로만 따져보면 가능성이 있다는 게 전문가들 의견이다. 

해동 과정에서 얼음이 뭉치고 커지면서 세포를 파괴하는 결빙 현상을 막아주는 해동 기술, 혈액을 대체할 수 있는 기술, 냉동 과정과 보관 중에 인체 여러 곳에 발생한 손상들을 치료할 수 있는 나노기술 등이 모두 있다면 냉동인간을 살릴 가능성은 있다는 것이다. 

현재 냉동보관 기술은 미국이 선도하고 있으나 국내 과학자들도 냉동인간을 현실화할 수 있는 실마리를 찾아가고 있다. 특히 극지연구소 김학준 박사가 메디포스트 휴림바이오셀 가천의과학대와 손잡고 `국가문제해결형 연구사업` 중 하나인 `생물자원 동결보존 기술`을 개발 중이다. 

국내 연구팀은 생물을 냉동 보관하는 데 필수적인 `결빙방지 단백질`을 대량 생산하는 기술을 최근 개발했고 `얼린 뒤 다시 해동해 살리는` 확률을 크게 높이는 데 성공했다. 

연구팀은 극한의 추위에서 생존하는 극지생물들이 어떻게 얼어 죽지 않고 살아갈 수 있는지에 주목하고 있다. 일반적인 생물과 다르게 극지생물들은 `결빙방지 물질` 또는 `부동 단백질`이라고 부르는 천연 `동사(冬死) 방지` 물질을 가지고 있다. 

생물이 얼어 죽는 것을 세포단위로 살펴보면 이해하기 쉽다. 일반적으로 온도가 낮아져 세포가 얼게 되면 세포 안팎에서 얼음 결정이 뭉치고 커지면서 세포가 눌리거나 찢어져 파괴된다. 또 얼었을 때 세포가 살아 있다 해도 해동되는 과정에서 작은 얼음들이 뭉치는 재결정화가 발생해 세포가 찢어지거나 눌려서 파괴되는 현상이 발생한다. 

김 박사는 "극지생물이 가지고 있는 결빙방지 물질은 얼거나 녹을 때 얼음이 뭉치고 커져 세포를 죽이는 것을 막아준다"며 "이러한 메커니즘을 활용하면 살아 있는 세포나 생물을 얼려서 보존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냉동보다 해동 과정에서 결빙을 막는 기술이 더 까다롭다고 설명했다. 

전문가들은 작은 생물이나 장기 등을 냉동보관할 수 있다면 냉동인간의 해법도 찾을 수 있다고 전망하고 있다. 김 박사가 이끄는 연구팀은 최근 북극에서 자라는 효모에서 결빙방지 물질을 찾아내고 대량생산(배양)하는 데 성공했다. 

그동안 알려진 결빙방지 물질은 많았지만 많은 양을 생산하지 못하는 게 한계였다. 

연구팀은 유전자를 재조합하는 기술을 이용해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었다. 연구팀은 특히 이 물질을 활용해 사람 혈액과 줄기세포를 얼렸다 녹이는 실험을 해 생존율을 95%까지 끌어올렸다. 국내외적으로 혈액이나 줄기세포를 얼렸다 다시 살리는 생존율은 약 85%가 최대치였다. 냉동과 해동 과정에서 결빙현상을 효과적으로 없앤 것이 유효했다. 

김 박사는 "혈액은 40일이 지나면 폐기처분해야 하므로 냉동보관 기술이 필요하다. 또 장기이식 수술에서 신선도 유지가 중요하므로 냉동기술이 유용할 것"이라며 "냉동인간을 실현하기 전에도 냉동보존 기술이 쓰일 곳은 많다"고 말했다. 

[심시보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