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호구의 발달은 무기의 발달과 그 궤를 같이 합니다. 체계적으로 정리되고 있는 서양전쟁사를 살펴보면 그 사실을 여실히 느낄 수 있습니다.
재미있는 점은 동시대의 서양과 동양을 비교해보면 상당히 다른 점을 느낄 수 있습니다. 그렇게 갈려지게 된데는 제련기술 때문이 아니었나 합니다.
서양의 금속 제련 기술은 상대적으로 동양에 비해 떨어졌습니다. 그래서 검이나 도와 같은 무기를 만들어도 날을 세우면 얼마가지 않아 날이 상해버려서 무기로서의 효과가 떨어집니다. 그래서 차라리 날이 없는 형태의 뭉퉁하고 무게를 늘리는 등으로 발전하게 됩니다.
무기 자체가 무거워지니 방어하는 쪽도 사실 그렇게 민첩하고 날렵한 움직임은 필요없어지고 점점더 중갑형태로 발전합니다. 그럼 더이상 베는 것이 불가능해지기 때문에 때려서 부쉬자는 형태의 철퇴, 워해머, 쯔바이핸더같은 '무식한' 무기들이 나오는 것이죠.
그에 반해 동양은 제련 기술의 발달이 빨라서 가볍지만 예리하고 쉽게 부러지지 않는 형태의 무기들이 발달합니다. 물론 중형무기가 있긴 했습니다만 특수한 병종이라 1:1 혹은 다대다의 싸움에서도 진형을 유지하기 때문에 중갑은 오히려 거추장스러웠을 것이라 보여집니다. 즉, 철퇴 등의 무기를 맞아가며 싸울 일이 없고 화살 정도만 방어하면 되는 갑옷이면 만족한다고 해야할까요?
우리나라 고대 시대의 갑옷입니다. 보시면 아시겠지만 조선시대의 두정갑이나 고려시대의 찰갑형태가 아닌 판금형태의 갑옷입니다. 서양은 체인메일 등에서 판금형태로 나아왔다면 우리나라는 오히려 판금형태에서 스케일메일(찰갑 등) 형태로 바뀌어왔다는 것을 보실 수 있습니다.중형무기의 공격에 의한 충격은 흡수가 어렵습니다만 일반적인 베기 공격이나 화살 등에 대한 방어도는 상당히 높았던 고구려시대 기마병은 상당히 위협적이였던 강병입니다.쇄자갑은 서양의 체인메일과 비슷한 형태로 쇠사슬을 엮어만든 갑옷이며 경번갑은 쇄자갑의 약점인 찌르기 공격을 보완하기 위해 그 위에 철판을 덧댄 형태입니다.조선시대의 두석린갑입니다. 미늘갑옷의 일종으로 두터운 방호복 위에 철편을 이어붙인 형태입니다. 두석이란 가구 등에 장식하던 황동편으로 그것을 방호복 위에 붙였다면 방어도 자체는 그리 높지 않았을 것으로 보입니다(물론 철두석린 갑옷도 있다고...).
조선시대의 두정갑은 두석린갑옷을 거꾸로 입은 형태라고 보면 됩니다. 실제 방호구가 되는 철편으로 이루어진 방어구를 입고 위에 걸쳐입는 형태의 갑옷입니다.
어떤 분이 써놓으신 글을 보니 조선시대 평화로운 시기에는 두정갑을 많이 입었다고 합니다. 안에 있는 철편갑옷은 빼놓고 위에 두정갑만 입는 형태로 말이죠. 아무래도 철편까지 걸쳐입다 보면 무거워서 멋을 위해 두정갑만 입은듯.
'Damul Korea'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 구 려 의 魂! 神 市 의 자 손!' (0) | 2011.05.08 |
---|---|
소서노, 그녀는 누구인가 (3) | 2011.05.08 |
삼성기,단군세기 우리는 무엇인가 (0) | 2011.05.08 |
치우천왕과 환인 환웅 쥬신 (0) | 2011.05.08 |
고조선(GOJOSUN) KOREA(From BC 2333) (1) | 2011.05.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