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1983년 국제사면위원회 미국 지부장으로 있으면서 베이커 교수는 당시 미국에 망명중이던 재야 정치인 고 김대중 대통령을 만났다. 그는 당시의 만남이 얼마나 인상적이었는지 그 잊을 수 없는 감회도 이야기해 주었다. 아래는 지난 12일 신촌의 한 모임에서 내가 베이커 교수와 나눈 일문일답이다.
- 1971년 광주에서 미국평화봉사단으로 일하며 3년을 머물렀는데 한국문화의 어떤 점에 그렇게 끌렸나?
"한국문화가 내가 자라난 북미문화보다 오래 되었다는 것에 끌렸다. 그래서 그런 한국문화를 알아가는 것이 흥미있었다. 한국문화와 비교하면 북미문화는 그 층이 깊지 못하다. 전라도 광주가 특별히 흥미있던 것은 당시 전라도의 전통적 문화가 여전히 그곳에 생기 있게 살아있었기 때문이다.
한국 문화는 아주 독특하다. 한국에 오기 전 나는 중국과 일본의 역사와 문화를 공부했다. 그래서 중국과 일본 사이에 있는 한국문화도 중국, 일본과 비슷할 것이라고 생각했다. 그러나 그런 고정관념에 있었던 나는 한국문화를 직접 접하고 놀랐다. 한국인들은 중국인과 일본인에 비해 감정적으로 더욱 열려있고 직설적인 성격이다. 그런 연유인지 중국이나 일본인보다 한국인 친구들을 사귀기가 더 쉬웠다."
- 1980년 5월 광주에 있었는데, 광주민주화운동 기간 중 겪었던 체험을 말해 달라.
"1980년 5월 광주에 가기 전 나는 서울에서 폭력사태를 목격했다. 당시 남대문에서 승객이 없는 시내버스가 학생들의 시위를 저지하려는 전투경찰을 치고 질주하는 것을 보았다. 여섯 명의 사람들이 버스에 치여서 땅바닥에 나뒹굴었다. 그 후 경찰 트럭이 와서 쓰러진 여섯 명을 트럭 뒤에 막 싣고 가는 걸로 봐서 그 여섯 명이 모두 즉사한 것 같았다. 그러나 다음 날 신문을 보니 단지 한 명만이 그 사건으로 사망한 것으로 되어 있었다. 또 신문은 그 버스를 운전한 사람이 광주사람이라고 했다.
광주에서 학살이 막 시작한 날인 5월 18일 나는 서울에 있었다. 나는 단파 라디오가 있었기 때문에 광주에서 무슨 일이 벌어지고 있었는지 알 수 있었다. 그러나 나는 직접 내 눈으로 광주에서 벌어지고 있는 일을 보고 싶었다. 또 광주에 있는 내 친구의 안부가 궁금했다. 나는 1980년 5월 27일 서울을 떠나 광주로 향했다. 그러나 군인들이 서울에서 광주로 가는 주변 도로를 봉쇄했기 때문에 광주 시내에 접근할 수가 없었다. 그래서 나는 먼저 해남으로 갔고 다음 날인 5월 28일 해남에서 시골버스를 타고 광주외곽에 내렸다. 거기서 나는 조그만 산을 넘어 걸어서 광주로 갔다. 내가 광주에 도착한 5월 28일은 광주시민에 대한 학살이 끝난 후였다.
광주 시내에서 나는 피가 거리 여기저기에 쏟아져 있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중년부모로 보이는 분들이 길거리에 놓인 관속에 누워있는 시신을 보고 절박하게 우는 것도 보았다. 한 어머니는 관을 운반하고 있는 손수레를 끌고 가는 사람들을 향해 따라가며 "내 아들 놔둬!"라고 울부짖기도 했다. 할머니들은 광주도청 근처 체육관 앞에 길게 줄을 서서 시신의 신원을 확인했다.
내가 1971년부터 1974년까지 광주에 살았기 때문에 친구들이 있었다. 그들을 만나서 5월 18일부터 27일 사이에 무슨 일이 있었는지 물었다. 난 충격을 받았다. 난 광주에 2~3일만 묵고 다시 서울로 돌아갔다. 군인들이 도로를 봉쇄했기 때문에 버스가 없어서 다시 오던 길로 산을 넘어 광주외곽으로 시골버스를 타기 위해 갔다.
나는 지금도 광주에서 고통의 눈물을 흘리던 많은 분들의 충격적인 모습에 대한 기억이 생생하다. 그중에 특별한 기억은 이렇다. 당시 나는 광주에서 공중목욕탕에 간 적이 있다. 목욕탕에서 표를 팔던 한 여성은 내가 왜 한국에 있느냐고 물었다. "나는 한국역사를 공부하고 있습니다"라고 했을 때 그녀는 "광주 시내가 다 파괴되었어요. 그래서 이제 광주에 역사는 없어요. 당신, 빨리 돌아가세요"라고 말했다. 그 여성의 말이 지금도 안 잊힌다."
|
"나는 1980년 광주학살이 나기 전 이미 한국역사를 연구하고 있었다. 1971년부터 74년까지 3년 동안 광주에 살면서 나는 한국역사에 매혹되었다. 그러나 대다수 서양인은 이러한 한국역사를 모른다. 광주는 내가 북미인들에게 한국역사와 문화를 가르치도록 영감을 준 곳이다."
- 지난 해 11월, 진실화해위원회 3기 위원장 이영조씨는 미국에서 열린 학회에서 "제주 4,3은 폭동, 광주 5.18은 민중반란"이라고 표현하기도 했다( 관련기사 ).
"나는 이영조씨의 그런 표현에 아주 마음이 불편하다. 1980년 5월의 반란은 광주시민이 일으킨 것이 아니라 몇몇 군 장성이 일으킨 것이다. 80년 5월 18일 전국적으로 계엄이 확대 되는 것에 반대해 소수의 시민들이 시위를 벌였다. 그 시위는 평화적인 것이었고 반란이 아니었다. 그러나 이 평화로운 시위대들이 자국민을 상대로 치명적 폭력을 저지른 군대와 마주쳤을 때 그 시민들이 정당방위로 저항한 것이다. 그래서 이영조씨의 '반란'이라는 표현은 아주 부적절하다.
제주 4.3의 경우는 그 시초가 한반도의 분단을 고착화 시키는 남한만의 단독선거에 반대해 일어난 군사적 저항이기 때문에 내전(Civil War)이라고 하는 것이 더 적절할 것이다. 다른 말로 4.3사건 발단은 조국분단이 목적이 아니라 한국의 미래가 어떠해야 하는 가라는 비전을 놓고 일어난 전투였다. 그래서 그것은 내전이지 폭동이 아니다. 미국역사에서도 미국 북부와 남부가 벌였던 남북전쟁을 남부의 북부에 대한 반란이나 폭동으로 부르지 않고 내전으로 부른다. 그래서 제주 4.3 사건과 그 뒤 한국전쟁도 내전으로 불러야 한다고 생각한다."
- 캐나다 대학생들에게 광주민주화운동에 대해 가르칠 때 반응이 어떤가?
"캐나다 학생들은 보통 광주학살에 대해 전혀 모른다. 그래서 내 강의를 들으며 큰 충격을 받는다. 지금은 한국이 민주국가라서 한국이 항상 그런 줄로 기대했기에 충격을 많이 받는 것 같다. 내가 1980년 5월 광주에 갔던 일과 목격한 일을 말할 때 교실은 침묵에 쌓이고 전 학생들은 내 말 한마디 한마디를 주시한다.
내가 캐나다에서 가르치는 한국 대학생 대부분도 캐나다 학생들처럼 광주학살에 대해 전혀 모른다. 한국학생들은 5.18에 대해 들었을지 모른다. 그러나 얼마나 잔혹한 일이 그때 광주에서 일어났는지는 전혀 모르는 것 같다. 내 학생 중에 간혹 광주 출신이 있다. 그 학생들의 반응은 두 가지다. 첫 부류의 학생은 처음 내 말을 믿지 않는다. 그 후 집에 가서 부모님으로부터 광주학살에 대한 증언을 듣고 왜 부모님이 캐나다로 이민을 오게 되었는지 그 이유를 알게 되고 나중에 내 말을 믿게 된다. 다른 부류 학생은 수업이 끝나고 내 방으로 찾아와서 고맙다고 한다. 부모님께 그런 증언을 들었지만 캐나다 학생들에게는 공개적으로 그런 이야기를 해 본적이 없어서 마음이 불편했었는데 내가 화두를 만들어주어서 고맙다는 이야기다."
- 1983년 고 김대중 대통령이 미국 망명 시 만났지 않나? 그때 재야 정치인 김대중과 인상적인 에피소드가 혹시 있었나?
"내가 김대중씨를 만났을 때 그는 미국망명 중 이었다. 나는 당시 국제사면위원회 미국 지부장이었다. 나는 김대중씨가 사형선고를 받았을 때 그에 대한 형집행정지를 위해 일했다. 나는 김대중씨와 부인 이희호씨를 미국 시애틀로 초대했고 워싱턴대학교에서 두 분은 이틀을 보냈다. 김대중씨는 대학에서 몇몇 공개강연을 했고 재미교포를 만났다. 난 김대중씨를 좋아했다. 당시 그는 나와 국제사면위원회 인사들에게 두 가지를 이야기 했다. 첫째 그는 자기가 대통령이 될 때 (되면이 아니라) 사형제를 폐지하도록 시도할 것이라고 했다. 나중에 그는 대통령이 되어서 사형 제도를 폐지하지는 못했지만 한 명도 자신 임기 중 사형시키지 않았다.
둘째, 자신이 대통령이 될 때, 제일 먼저 할 일로 자기에게 사형선고를 내린 가해자들을 사면할 것이라고 했다. 그는 그것이 그동안 한국을 분열시킨 지역감정을 극복하기 위해 필요한 절차라고 말했다. 그리고 그가 대통령이 되어서 그는 정말 전두환과 노태우를 사면했다. 그는 대통령이 되기 15년 전 내게 한 말을 기억한 것 같았고 그가 그 약속을 지킨 것에 감동을 받았다."
- 전두환은 비록 광주학살의 가해자지만 그는 아직도 윤택하게 살고 그에 대한 경호비용은 세금으로 충당된다. 이런 현상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나?
"비록 나는 고 김대중 대통령이 전두환을 사면해 준 것을 인정하지만, 전두환은 전직 대통령으로 예우되어선 안 되고 범죄자로 취급을 받아야 한다. 한국인이 그를 대통령을 뽑아준 적이 없지 않은가? 전두환은 군사 쿠데타로 스스로 대통령이 되었을 뿐이다. 난 사형제도는 반대한다. 그러나 전두환은 종신형을 받고 지금도 감옥에 있어야 한다. 종신형도 못 시키면 최소한 전두환의 전 재산을 한국정부가 다 빼앗아 전두환이 학살을 자행한 광주학살 희생자들에게 나누어 주어야 한다."
- 한국학자로서 한국정부에 해 주고 싶은 조언이나 제안이 있나?
"한국정부는 젊은 세대들에게 지난 반세기의 역사를 가르쳐야 한다. 내 경험에 의하면 한국 젊은이 들은 부모나 할아버지 세대가 살았던 역사를 너무 모른다. 만약 한국 젊은 세대들이 부모나 할아버지 세대가 겪었던 희생과 일에 대해 더 안다면 한국역사와 정치가 과거의 권위주의로 후퇴하는 것을 막을 수가 있다.
지난 50년간 한국은 세계 어느 나라보다 단기간에 '빨리 빨리' 민주주의와 경제발전을 이루었다. 그 과정에 한국이 많은 피를 흘렸지만 그 흘린 피의 양도 인도네시아나 인도보다는 적다. 한국과 비교할 수 있는 나라는 대만뿐이다. 한국 젊은이들은 한국현대사의 독특함을 알아야 하고 그래서 그 부모와 할아버지 세대가 이룩한 것에 자부심을 느껴야 할 것이다."
'Internal Issue'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반도 평화 아카데미 남북관계 정책개선 전망 (0) | 2011.09.23 |
---|---|
한반도 정세변화 예고 (0) | 2011.08.21 |
日亡兆? 일본산 바퀴벌레 슬금슬금 한반도 ‘점령’ (0) | 2011.06.12 |
북은 등 돌렸는데…말뿐인 통일 (0) | 2011.05.16 |
서울서 방사능 물질 요오드 검출? (0) | 2011.03.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