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명체의 필수 6대 원소’인 탄소(C), 수소(H), 질소(N), 산소(O), 인(P), 황(S)이 아니라 비소(As)를 기반으로 한 박테리아가 존재할 수 있다는 사실이 최초로 확인됐다.
미국 항공우주국(NASA) 우주생물학 연구소와 애리조나 주립대학 연구진은 2일 “비소 성분이 아주 많은 캘리포니아주 동부 모노 호수(Mono Lake)의 침전물 속에서 신종 박테리아(GFAJ-1)를 발견해 배양하는 데 성공했다”고 발표했다. 연구진은 “이 박테리아는 단지 비소를 먹는 데 그치지 않고 독성원소인 비소를 박테리아의 DNA로 융합시켰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의 핵심은 지구상에서 최고 독성 물질 중 하나로 알려진 비소가 일부 생명체가 생존할 수 있는 물질이 될 수 있음을 나타내는 것이다. 이는 생명체가 생존을 유지하는 데 필요한 요소들에 대한 전통적인 개념을 허무는 것으로, 우주에서 생명체가 발견될 수 있는 잠재적인 장소가 확대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NASA 연구팀은 “이번 발견은 과학자들이 지구상 생명체의 다양성에 관해 얼마나 제대로 몰랐는지를 나타내는 것이며, 다른 행성이나 달에서 외계 생명체를 찾기 위해 탐색해야 하는 곳들이 늘어나는 것을 드러내는 것”이라고 말했다. 지금까지 NASA는 외계 생명체를 찾기 위해 지구와 동일한 원소 기반을 가지고 있고, 생명체 필수 6대 원소가 있는 행성에서만 탐색작업을 해왔다.
미국과학진흥협회(AAAS) 회의에서도 종전의 생명체 개념을 바꿔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학자들은 우리가 가진 생명체의 개념이 지나치게 지구중심적이라면서 이런 기존 개념에서 완전히 벗어난 ‘낯선 생명체’, 더 나아가 ‘그림자 생물권’이 우리가 인식하지 못하는 형태로 지구에 존재할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이들을 찾아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나 이번에 발견된 새 생명체가 지구외 다른 행성에 외계인 등의 생명체가 존재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라는 지적도 있다. 최규홍 연세대 천문우주학과 명예교수는 “이번에 발견한 새로운 생물체는 호숫가에 있는 침전물을 가져와 실험해 만들었기 때문에 지구에 있는 것일 뿐 지구 외에서 발견된 것이 아니다”며 “지구외 외계인 존재 가능성은 아직 추측이고 가설”이라고 강조했다.
출처
'Life Trace'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한민국1% 이아이 (0) | 2011.03.27 |
---|---|
웹호스팅 업체 즐겨찾기 (0) | 2011.01.15 |
라스트 갓 파더 예고편 (0) | 2010.11.29 |
터키쉬 앙고라 '루비'의 일상 (0) | 2010.11.18 |
Simple_BKO 스킨 XHTML 본문 스킨 크기 늘리기 (1) | 2010.11.16 |